청년도약계좌 신청 해지 방법 혜택 확인하기

정부에서 청년들에게 안정적인 자산축적과 경제적 자립을 돕기 위한 정책으로 청년도약계좌라는 금융상품을 출시했습니다.

아직 청년도약계좌를 신청하지 않았다면 아래 내용(청년도약계좌 신청 해지 방법)을 확인하시고 하루라도 빨리 혜택을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청년도약계좌 지원금

1. 청년도약계좌란?

은행에 청년도약계좌를 만들어 매월 저축하면 정부에서 저축금액 대비 일정 비율을 지원금으로 지급해주고 세제 혜택까지 받을 수 있는 제도입니다.

사회에 첫발을 내딛는 청년들의 자산 형성에 큰 도움을 주기 위한 정부 정책 중 하나라고 할 수 있어요.

 

2. 청년도약계좌 신청 절차

신청자는 은행에 청년도약계좌 신청 → 신청받은 은행에서 서민금융진흥원을 통해 신청조건 확인 → 조건충족 시 신청자 청년도약계좌 개설

매월 2주간 가입신청을 받아 가입신청 후 2~3주 이내에 심사를 완료하므로 청년도약계좌 신청 후 통장개설까지는 한달가량의 시간이 소요되니 참고하세요.

 

3. 청년도약계좌 신청조건

1) 나이

계좌개설일(가입일) 기준으로 만 19세 이상 만 34세 이하인 경우 신청 가능합니다.

병역 이행 기간은 나이에서 제외되니 참고하세요.

2) 소득

개인 연간 소득 7,500만원 이하이며 종합소득 금액 6,300만원 이하인 경우 신청할 수 있고,

위 조건을 충족하더라도 최근 3년간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는 제외됩니다.

3) 가구소득

가족 소득이 중위소득 250%이하에 해당되야 신청 가능합니다.

*<22년 기준 중위소득 250% 가구별 소득금액>

  • 1인가구 557만원
  • 2인가구 971만원
  • 3인가구 1179만원
  • 4인가구 1432만원

 

3. 청년도약계좌 납입기간, 납입금액

1) 납입기간

청년도약계좌 개설 후 5년간 유지를 해야 합니다.

2) 납입금액

월 1천원부터 최대 월 70만원 한도 내에서 자유롭게 저축을 할 수 있습니다.

 

4. 청년도약계좌 금리(혜택)

1) 기본금리 4.5%

별도의 우대조건을 충족하지 않았을 때는 기본적으로 4.5%의 금리를 제공 받을 수 있습니다.

2) 우대금리 1.5%

청년도약계좌를 개설하는 은행별로 급여 이체, 자동 납부 등 여러 가지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추가로 1.5%의 우대금리를 받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기본금리에 우대금리를 받으면 총 6.0%의 금리를 받을 수 있습니다.

3) 비과세 혜택

일반적으로 적금 만기 시 이자소득세를 15.4%내야 되지만 청년도약계좌는 만기 시 이자소득세를 면제해 줍니다.

4) 정부지원금(기여금)

개인소득 및 월 납입금액에 따라 5년간 총 30~150만원을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개인소득이 낮을수록 정부지원금을 많이 받을 수 있어요.

 

청년도약계좌를 5년간 유지하고 만기 시 받을 수 있는 총금액을 확인하고 싶다면 아래를 참고하세요

청년도약계좌 만기금액

5. 청년도약계좌 신청방법

1) 취급 은행

우리, 농협, 기업, 부산, DGB 대구, 광주, 전북, 경남, SC제일, 국민, 신한, 하나 총 12개 은행에서 청년도약계좌를 신청할 수 있습니다.

2) 신청 방법

취급 은행의 앱을 통해서 비대면으로 가입신청이 가능하고, 별도 서류 없이 개인소득 확인, 가구소득 환인 등의 절차가 진행됩니다.

 

 

6. 청년도약계좌 해지

1) 중도해지 시 혜택은?

청년도약계좌는 가입 후 해지할 경우 비과세 혜택 및 정부지원금을 받지 못합니다.

2) 중도해지 시 추가지원

청년도약계좌 가입 후 3년 이상 유지한 경우는 비과세 혜택과 정부지원금 60% 수준의 금액을 받을 수 있습니다.

3) 특별중도 해지 사유

청년도약계좌 가입 후 특별중도해지 사유가 발생한 경우에는 비과세 적용 및 정부기여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특별중도해지 사유>

  • 생애 최초 주택구입
  • 가입자의 퇴직
  • 사업장의 폐업
  • 가입자의 사망 및 해외 이주
  • 천재지변
  • 장기치료가 필요한 질병 발생
  • 혼인(2024년 추가)
  • 출산(2024년 추가)

그리고 중도해지 후 2개월이 지나야 다시 청년도약계좌를 재가입 할 수 있습니다.

 

7. 청년도약계좌 상담센터

1) 상담센터

청년도약계좌 비대면 상담센터 전화 1397 → 바로 ‘3’ 또는 취급 은행 콜센터에서 상담받을 수 있습니다.

2) 홈페이지

청년도약계좌에 대한 추가내용을 확인하고 싶다면 청년도약계좌 홈페이지 또는 서민금융진흥원 홈페이지를 참고하시면 됩니다.

 

 

이상으로 청년도약계좌 신청 해지방법, 혜택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이제 사회생활을 시작하는 청년이라면 이런 정부 정책을 잘 활용하여 결혼, 출산 등 미래에 대해 준비를 잘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이 게시물이 얼마나 유용했습니까?

평점을 매겨주세요

평균 평점 0 / 5. 투표 수 0

가장 먼저 게시물을 평가 해보세요

Leave a Comment

error: 우클릭이 불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