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학생 맞춤형 고용서비스를 아시나요? 요즘 20~30대라면 취업에 대한 걱정을 한번쯤 해보셨을 겁니다. 졸업 후 아직 사회초년생이라면 어떤 직업이 있는지? 자신의 적성에 맞는 일자리가 뭐가 있는지? 혼란스럽고 두려울수 있습니다.
특히, 대부분의 대학생들이 ‘일경험 정보를 어디에서 찾아야 할지 모르겠다.’, ‘일경험에 참여하더라도 사실상 허드렛일 위주였다’라는 등의 말이 많았습니다.
일경험 기회를 확대하는 동시에 재학 단계부터 일경험 등을 포함한 고용서비스를 단계별ㆍ맞춤형으로 제공하는 ‘재학생 맞춤형 고용서비스’ 활용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재학생 맞춤형 고용서비스’란?
- 1:1 상담을 기반으로 저학년 학생에게는 진로・직업의 종류・설계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고, 고학년 에게는 취업할동계획 수립, 취업 관련 훈련・일경험을 통한 취업을 할 수 있는 능력을 향상시켜주는 프로그램입니다.
2. 재학생 맞춤형 고용서비스 내용
1) 빌드업 프로젝트
- 저학년 중심의 프로젝트로 AI를 활용한 직업탐색 심층 상담 기반의 관심 직업 포트폴리오를 제공하여 저학년 때부터 자신의 진로에 대한 설계를 지원합니다.
- ‘빌드업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학생들은 인공지능(AI) 프로그램(잡케어*)에 직업심리검사 결과와 전공 등을 입력하여 전공 및 적성과 관련한 직업을 확인할 수 있고 해당 직업의 임금과 일자리 수요 등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 받을 수 있습니다.
- * 잡케어(Job care): 전공 및 적성ㆍ흥미 등을 입력 시 관심 직업에 대한 주요 정보(임금, 일자리 수요, 자격 등) 제공 등 인공지능 기술 기반의 직업상담지원서비스
2) 점프업 프로젝트
- 고학년 중심의 프로젝트로 취업을 준비하는 청년들에게 목표하는 직업과 취업 활동을 하기 위한 계획을 설정하고 개인별 맞춤형 훈련과 일경험 등을 연계하여 취업을 할 수 있게 도와줍니다.
- 자신의 취업역량과 구직의욕 등을 진단한 뒤 전문 상담사와 1:1 상담을 하면서 함께 취업목표를 결정하고 이에 맞는 ‘개인별 취업활동계획*’을 수립합니다.
- 이 계획에 따라 원하는 직업을 얻는 데 필요한 훈련, 일경험, 이력서・면접 관련 취업 기술 향상 프로그램 등을 최대 1년간 패키지로 제공 받을 수 있습니다.
- * 개인별 취업활동계획: 원하는 취업을 위해 필요한 (전공)교과목・훈련・일경험 등에 참여하도록 구체적인 일정과 프로그램을 상담사와 청년이 함께 계획을 수립합니다
3. 점프업 포인트(수당) 지급
1) 자기주도형
- 자기주도형은 참여자가 본인의 취업할동계획(LAP)에 계획된 프로그램 및 고용서비스 맞춤형 정보 제공 프로그램에 따라 안내된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활동 인정 시간 합계가 5시간에 도달한 경우 5만원을 지급
2) 서비스참여형
- 서비스참여형은 참여자가 훈련・일경험 프로그램 등에 참여, 활동 인정 시간 합계가 20시간에 도달할 경우 25만원을 지급
4. 재학생 맞춤형 고용서비스 지원대상
- 대학교 재학생
- 대학교 졸업생
- 지역청년
- 2024년부터 고등학교 재학생에게도 지원
5. 재학생 맞춤형 고용서비스 신청 방법
- 워크넷-재학생 맞춤형 고용서비스 홈페이지에서 참여 신청
- 사업 운용 중인 지역별 대학일자리플러스센터*에 오프라인 신청서 작성 후 제출
6. 대학일자리플러스센터
- 청년들의 취업난 해소와 취업 성공을 위한 체계적인 진로 서비스 및 취업정보제공, 단계별 맞춤 진로지도 및 취업・창업 프로그램운영, 해외 취업상담 및 해외 취업 지원프로그램 지원, 대학 및 관계기관의 취업・창업 진로지도 등 다양한 취업지원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서비스
1) 대학일자리플러스센터 현황
- 지역별 120개 대학교에서 대학일자리플러스센터 운영
- ‘온통청년’ 홈페이지 지역별 대학교 현황 확인 가능
2) 대학일자리플러스센터 지원내용
- 대학교 내에 전문성을 갖춘 상담사 및 취업전담자 배치하여 진로 및 취업・창업에 관한 상담지원 서비스 제공
- 진로 및 취업・창업교과목을 개설하여 관련 프로그램 운영
- 입사지원서 및 NCS직무역량강화교육, 정년 고용정책 정보 제공 및 참여프로그램 운영
- 학생경력개발시스템(KW-CDP)을 통한 청년 취업 능력을 향상 프로그램 운영
7. 재학생 맞춤형 고용서비스 관련 상담기관
- 고용노동부 고객상담센터 상담 문의 (국번 없이) 1350
- 사업 운영 중인 각 대학교(전국 120개 대학) 일자리플러스센터
8. 정부(고용노동부) 정책 방향
- 지난해 재학생 맞춤형 고용서비스 시범운영 결과 대학과 학생의 호응이 높아 앞으로 대학일자리플러스센터를 운영하는 대학을 대폭 늘리겠다고 밝혔습니다.
- 대학일자리플러스센터가 대학생뿐만 아니라 고등학생들과 지역 청년에게 취업 지원 첫 단계가 되는 역할을 충분히 수행할 수가 있도록 관련 정책을 보완해 나가겠다고 합니다.